반응형


이번에는 버추얼 박스 가상 시스템을 내보내고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 가상 시스템 내보내기 -


버추얼 박스를 실행하고 상단 오른쪽 메뉴에서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가상 시스템 내보내기>창에서

내보낼 가상 머신을 선택하고

아래의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가상 시스템 설정에서 형식, 파일 경로 등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가상 시스템 설정 창에서 정보를 확인한 후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하면

가상 시스템을 내보내기 시작해요.



작업이 완료되면 위에서 설정한 경로에

OVA 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어요.







- 가상 시스템 가져오기 -


버추얼 박스 메인 창에서 상단 오른쪽에

있는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그다음 상단 오른쪽 <가져올 가상 시스템>

부분의 오른쪽 폴더 아이콘을 눌러서

가져올 가상 시스템 파일(OVA)을 선택하세요.



또는 생성한 OVA 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하면

바로 가상 시스템 가져오기 창이 떠요.



그다음 가상 머신을 저장할 경로,

MAC 주소 정책 등을 설정해 주고

아래의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가상 시스템 가져오기 작업을 시작해요.



작업이 완료되면 버추얼 박스 가상 시스템

목록에 다음과 같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며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
반응형


네트워크 카메라 또는 스트리밍 서버 생성,

접속 등을 테스트할 때 유용한

VLC Media Play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VLC Media Player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VLC 공식 홈페이지



VLC Media Player는 윈도우, Mac OS X와

안드로이드, iOS 등 다양한 기기를

지원해요. (한국어 지원)


VLC Media Player를 설치하고 최초 실행 시

개인 정보와 네트워크 접근 정책을 허용하고

윈도우 방화벽을 사용할 거냐는 창이 뜨면

허용으로 설정해주세요.



VLC Media Player를 살펴보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곰 플레이어 같이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인데요.



이 포스트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네크워크 카메라(CCTV), 스트리밍 서버에

RTSP로 연결해 영상을 보도록 할게요.


상단의 메뉴에서 <미디어> 메뉴 안에

<네트워크 스트림 열기>를 클릭하세요.



그다음 연결할 장치, 서버의 rtsp IP 주소, 포트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재생> 버튼을 누르면 돼요.



네트워크 카메라(CCTV)의 경우 로그인 과정이 있어

계정 정보를 모르면 접속할 수 없어요.


만약 네트워크 카메라에 접속이 안될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의 설정에 URL 주소, 포트 번호가

제대로 맞는지 확인하세요.


정상적으로 네트워크 카메라, 스트리밍 서버에 

연결이 되면 정상적으로 영상과 오디오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VLC Media Player RTSP 스트리밍 서버로

설정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내용을 확인하세요.


VLC media player로 동영상 파일 

스트리밍 하기

(RTSP streaming server)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며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
반응형


컴퓨터 포맷한 다음 윈도우(OS)를 처음 

설치했을때 윈도우에서 자동으로 랜카드 

드라이버 를 인식하지 못했을 경우 

랜카드 제조사 드라이버를 구해

설치해야 되는데요. 


이번에는 드라이버 CD가 없거나 랜카드

제조사, 드라이버가 어느 것인지 몰라서

랜카드 드라이버를 못 잡을 때 

자동으로 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해주는 

3DP Ne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3DP Net은 네이버 소프트웨어 홈페이지와

3DP Chip 공식 홈페이지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네이버 소프트웨어 홈페이지


3DP Chip 공식 홈페이지


다운로드 하기 편한 사이트에서

3DP Net을 다운로드하세요.


랜카드 통합 드라이버다 보니 용량이 100MB가

넘어 다운로드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어요.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프로그램을 설치해주세요.





설치하고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다음과 같이

처음 화면에 랜카드가 나오는데 랜카드를

클릭하면 해당 랜카드 드라이버가 설치돼요.




이제 랜카드 드라이버가 설치되었으며 

고정 IP를 사용하는 분은 IP 정보 등을

설정해주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어요.


PC 포맷을 자주 하는 분은 미리 3DP Net을

다운로드하여 USB 같은 곳에 보관하여

PC들을 관리하는 것이 좋을 거 같네요.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며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
반응형


사진이나 이미지 편집이 필요할 때 

포토샵 대신 사진 보정, 편집 등을 

할 수 있는 무료 이미지 편집 툴인 

PhotoScape(포토스케이프)의 설치 방법, 

기능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포토스케이프 다운로드, 설치하기


포토스케이프는 윈도우에서 동작하는 

무료 소프트웨어(프리웨어)로 개인, 기업, 

관공서에서 무료로 사용 가능하고

아래의 링크를 통해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포토스케이트 다운로드 홈페이지



다운을 받은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포토스케이프 설치하는 도중에

구글에 관련한 툴바 또는 드라이브 설치

옵션 페이지가 나오는데 사용자분에게

필요하지 않으면 체크를 해제하세요.



설치가 완료되면 포토스케이프가 실행되는데

화면을 살펴보면 사진 뷰어, 사진 편집,

페이지, 이어붙이기, GIF 애니메이션, 인쇄

RAW 변환, 이름 바꾸기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는 걸 볼 수 있어요.



다음으로 간략하게 포토 스케이프의 

각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포토스케이프 기능 살펴보기


사진 뷰어는 윈도우 탐색기, 알씨처럼

이미지들을 미리 보기 형태로 볼 수 있어요.


이미지를 더블 클릭하면 전체 화면으로

채워지며 Ctrl 키 + 마우스 휠(위, 아래)로 

이미지를 확대, 축소할 수 있어요.



사진 편집에서는 사진의 크기, 밝기, 색상,

자동 레벨, 선명하게, 필름 느낌, 필터, 뽀샤시,

역광 보정, 자르기, 글자 삽입, 모자이크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요.



다양한 필름 느낌을 제공하고 있어 

이미지의 느낌을 손쉽게 바꿀 수 있어요.



또한, 미리 보기도 제공하고 있어 이미지에 

효과를 주었을 때 어떻게 변하는지를 

바로 볼 수 있어요.



일괄 편집에서는 여러 개의 이미지(사진)을

한 번에 동일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어요.



페이지에서는 각 분할된 틀에 여러 사진을

넣어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 수 있어요.



이어붙이기에서는 여러 이미지를 

한 이미지로 이어 붙여주는 기능을 제공해요.



GIF 애니메이션은 여러 이미지를 이어서

움직이는 이미지인 GIF로 만들어줘요.


이 글에 있는 포토스케이프 설치 과정을 

보여주는 이미지도 포토스케이프로

만든 GIF 이미지에요.



인쇄에서는 명함 사진, 증명사진 등을

실제 인쇄할 종이에 맞게 여러 장을 

배치하여 바로 인쇄할 수 있어요.





이상으로 포토 스케이프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요.


개인, 소규모 기업에서 사용하기에

딱인 이미지 편집 툴이라고 생각해

소개해 드리며,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칠게요.


반응형
,
반응형


윈도우 탐색기로 FTP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전송, 다운로드 등을 할 수 있는데요.


이번에는 윈도우 탐색기, 알 FTP처럼 

FTP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 전송/다운로드 

등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파일 질라 

클라이언트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파일질라 클라이언트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파일질라 클라이언트는 프리웨어로

개인, 기업에서 무료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에요. (2018.09 기준)


파일질라 클라이언트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파일질라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파일질라 클라이언트 공식 홈페이지




설치 파일을 실행하고 설치 과정 중에

오페라 브라우저, 백신 프로그램 설치에 

대한 옵션이 있으니 주의하세요.



만약에 FTP 서버가 없어 FTP 서버를 

구축하셔야 되는 분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세요.


[FileZilla Server] 파일질라 FTP  

서버 설치, 설정하기 (FTP 서버)





파일질라 클라이언트

접속, 업로드/다운로드, 설정하기


파일 질라 FTP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모습인데요.


상단에는 접속할 FTP의 IP, 계정 정보를

입력하여 옆에 빠른 연결을 누르시면 돼요.



저는 파일질라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PC에

파일질라 FTP 서버가 설치되어 있어

내부 IP 127.0.0.1로 접속하였어요.


FTP 서버에 접속이 완료되면 왼쪽 창에는 

로컬 사이트(PC)의 내부가 오른쪽 창에는 

리모트 사이트(FTP 서버)의 내부 폴더와

파일이 보여요.


그리고 업로드의 경우 로컬 사이트에서

파일을 리모트 사이트에서 원하는 경로로

이동한 다음 업로드 할 폴더, 파일을 

드래그하여도 되고 폴더, 파일을 선택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업로드할 수 있어요. 



다운로드도 업로드처럼 드래그 또는

폴더, 파일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다수의 파일 폴더도 동시에 선택하여

업로드, 다운로드가 가능해요.


아래의 대기 파일에  업로드, 다운로드할

내용이 나오며 작업 취소 등이 가능하고

전송 결과에 맞게 전송 실패, 전송 성공 탭에

각 전송 결과가 기록돼요.


 그리고 사이트 관리자 기능도 제공하여

여러 FTP 서버의 접속이 필요한 경우

핸드폰의 연락처처럼 관리가 가능해요.



그리고 접속할 FTP 서버의 문자 셋 인코딩

설정도 있으니 폴더, 파일명이 깨질 경우

 여기서 설정을 해보세요.



세부 설정은 상단의 메뉴에서 

<편집>-<설정>에 들어가시면 가능하고,

중복 파일 동작에 대한 설정도 

가능하여 유용할 거 같네요.



이제까지 파일질라 클라이언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무료에 다국어도 지원되고 인터페이스도

간단하여 사용하기에 편해 추천해드며,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칠게요.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