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는 버추얼 박스에 윈도우 10(Windows 10)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설치에 앞서 먼저 윈도우 10 설치를 위해 윈도우 10 ISO 파일이 필요한데요.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Windows 10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통해 ISO 파일을 만들 수 있어요.

ISO 파일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세요.


Windows 10 ISO 파일 만드는 방법


Windows 10 ISO 파일을 만드셨다면 버추얼 박스를 실행하고 윈도우 가상 머신을 만들기 위해 상단 메뉴의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가상 머신 만들기에서 이름, 저장 위치, 종류(Microsoft Windows), 버전(Windwos 10 / 설치할 윈도우의 비트), 메모리 크기 등을 지정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에서 파일 위치, 크기 등을 지정할 수 있어요.


저는 윈도우 10 설치 시 필요한 최소 공간이 40 GB(기가)라고 들어서 이렇게 지정하였는데 윈도우 10 설치하고 사용 공간을 확인해 보니 약 20 GB 정도를 사용하고 있네요.


그러니 윈도우 가상 머신에 설치할 프로그램의 용량을 고려하여 가상 하드 디스크 크기를 지정하세요.



다시 버추얼 박스 메인 창에서 만든 가상 머신을 시작하면 <시동 디스크 선택>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아까 만든 Windows 10 ISO 파일을 선택하고 <시작> 버튼을 클릭하세요.



이제 윈도우 10 설치 화면이 나오며 언어, 정품 인증, 설치할 운영 체제(Home, Education, Pro)를 선택하세요.







<설치 유형을 선택하세요.>에서는 <사용자 지정: Windwos만 설치(고급)>을 선택하세요.



윈도우 10을 설치할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이제 Windows 10 설치를 시작하는데요.

제가 윈도우 10을 설치할 때 이 부분에서 계속 오류가 발생해서 윈도우 설치 진행이 안되었는데요.



여기서 윈도우 머신의 창을 닫을 때 나오는 옵션에서 시스템 전원 끄기를 한 다음 다시 윈도우 가상 머신을 실행하여 Windows 10 설치를 실행하여 설치 드라이브 선택에서 이전 windows 설치가 되어 있는 공간(동일한 드라이브)에 다시 설치하니 정상적으로 설치가 가능했어요.



그러니 저처럼 오류가 발생하시는 분은 파티션 삭제, 합치기 등을 하시지 마시고 이전 설치 시 생성된 드라이브에 이전 윈도우 덮어쓰기 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해보세요.


설치가 완료되면 PC에 윈도우 10을 처음 설치했을 때처럼 사용자 설정 과정을 걸치면 설치가 완료돼요.



저는 설치 파일 테스트 용으로 버추얼 머신에 윈도우 10을 설치하여 테스트 중인데 시스템이 약간 문제가 있는지 가끔 블루 스크린이 발생하는 증상이 있어서 좀 살펴봐야겠네요.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며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
반응형

이번에는 윈도우(Windwos) 10 설치를 위해 ISO 파일을 만들고 설치 DVD를 굽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볼게요.


우선 윈도우 10 ISO 파일을 만들기 위해 아래의 링크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지금 도구 다운로드> 클릭하여 Windows 10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세요.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10 다운로드 홈페이지



다운로드한 Windwos 10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관련 통지 및 사용 조건에 동의를 하세요.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USB 플래시 드라이브, DVD 또는 ISO 파일) 만들기>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윈도우 10의 언어, 에디션, 아키텍쳐(32비트, 64비트) 등을 선택하실 분들은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을 체크 해제하면 옵션을 변경할 수 있어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한국어, Windows10, 64 비트를 사용하시면 되며, 하단에 있는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사용할 미디어 선택 창에서 <ISO 파일>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고 ISO 파일의 이름과 저장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이제 Windows 10을 다운로드를 시작하고 ISO 파일 생성을 시작해요.



Windows 10 설치 ISO 파일이 다 만들어졌다면 하단의 DVD 버너 열기를 클릭하면 바로 DVD를 구울 수 있어요.



이 ISO 파일로 버추얼 박스와 같은 가상 머신에도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며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
반응형

이번에는 PC에 윈도우(Windwos) 10 설치를 위해 설치용 USB를 만들어 볼게요.

일단 준비물로 8GB 이상의 USB 메모리 스틱이 필요하며 제조사가 삼성, 샌디스크라면 별 문제 없이 설치 USB를 만들 수 있어요.


우선 윈도우 10 설치 USB를 만들기 위해 아래의 링크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지금 도구 다운로드> 클릭하여 Windows 10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세요.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10 다운로드 홈페이지



다운로드한 Windwos 10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관련 통지 및 사용 조건에 동의를 하세요.



다음으로는 원하는 작업을 선택하십시오. 라는 창이 나오는데요.

설치 USB를 만들거기 때문에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USB 플래시 드라이브, DVD 또는 ISO 파일) 만들기>를 선택하시고 아래에 있는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그다음 설치 이미지를 제작할 윈도우 10의 언어, 에디션, 아키텍쳐(32비트, 64비트) 등을 선택하실 분들은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을 체크하면 선택할 수 있어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한국어, Windows10, 64 비트를 사용하시면 되며, 하단에 있는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사용할 미디어 선택 창이 나오면 <USB 플래시 드라이브>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ISO 파일은 나중에 DVD 디스크로 설치 파일을 만들거나 가상 머신 등에 Windows 10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나중에 디스크가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이제 USB 메모리 스틱을 PC에 연결하시고 이동식 드라이브 목록에 해당 USB 메모리 스틱이 나오지 않는다면 <드라이버 목록 새로 고침>을 클릭하세요.


연결한 USB 메모리 스틱이 드라이브 목록에 나온다면 해당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아래에 있는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이제 Windows 10을 다운로드하며 USB에 윈도우 10 설치 파일 등을 복사하기 시작하는데요.

다운로드 속도, USB 전송 속도, 시스템 사양 등의 차이로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으니 잠깐 쉬다 오세요. (제 기준 약 10~20분 소요)



윈도우 10 설치 USB가 다 만들어졌으면 설치 USB를 PC 연결하고 부팅 시에 해당 USB로 부팅하여 윈도우 10 설치를 진행하시면 돼요.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며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
반응형


이번에는 네이버에서 무료로 배포 중인 나눔 글꼴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나눔 글꼴 다운로드, 체험하기


나눔 글꼴 다운로드를 위해 아래의 링크를 통해 네이버 한글한글아름답게 나눔글꼴 홈페이지로 이동하세요.


네이버 한글한글아름답게 홈페이지

(나눔 글꼴)



나눔글꼴은 2020년 6월 현재 나눔스퀘어라운드, 나눔스퀘어, 나눔바른펜, 나눔바른고딕, 나눔글꼴에코, 나눔손글씨, 나눔고딕, 나눔명조 이렇게 여러 가지의 글꼴이 있어요.


홈페이지의 나눔글꼴 체험하기의 각 글꼴을 클릭하여 홈페이지에서 글꼴을 체험해보고 다운로드할 수 있고 글꼴 전체를 다운로드 하고 싶으신 분은 상단에 있는 <나눔글꼴 모음 설치하기>를 클릭하여 현재 사용중인 OS에 맞는 글꼴 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



나눔글꼴은 무료 배포이지만 라이선스 정책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라며 네이버 나눔글꼴 라이선스에 대한 안내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네이버 고객센터의 안내글을 참고하세요.


- 라이선스 안내 사항 (네이버 발취)


※ 나눔글꼴의 지적 재산권은 네이버, 네이버문화재단에 있으며, 오픈 라이선스로 자유롭게 수정하고 재배포 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나눔글꼴은 개인 및 기업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글꼴 자체를 유료로 판매하는 것을 제외한 상업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고객센터 글 중)


※네이버 나눔글꼴 라이선스 전문을 포함하기 어려울 경우, 나눔글꼴의 출처 표기를 권장합니다. (고객센터 글 중)

예) 이 페이지에는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나눔글꼴 설치


나눔글꼴을 다운로드하신 분은 압축을 풀어주세요.

압축을 풀면 ttf, otf 파일 등이 보일 텐데 여기서 설치를 원하는 글꼴을 마우스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서 <설치>를 클릭하세요.



설치가 완료되면 워드, 파워포인트 등 각 편집기에서 설치한 나눔글꼴이 표시되며 글꼴을 사용할 수 있어요.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며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
반응형


이번에는 우분투 20.04 LTS (Ubuntu 20.04)에서 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하는 방법과 한국어 입력이 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설정을 위해 설정 창(Settings)을 열어주세요.

윈도우 키보드 사용 중이시면 키보도의 윈도우 키를 누르고 나오는 검색 입력에 settings를 입력하면 바로 나와요.



설정 창 왼쪽 메뉴 아래를 살펴보면 <Region & Language>를 선택하세요.




시스템 언어 변경하기


시스템의 언어를 선택하실 분은 <Language>를 클릭하세요.



그다음 나오는 언어 선택 창에서 <한국어>를 선택하고 상단 오른쪽에 있는 <Select> 버튼을 클릭하세요.



<Restart> 버튼을 클릭하시고 다시 로그인하세요.



다시 시작하면 다음과 같이 기존에 쓰던 폴더 이름 등을 변경한 언어에 맞게 변경할 것인지 물어보는데 이전 그대로 유지하고 싶으신 분은 <Keep Old Names>를 한국어로 변경된 폴더 이름을 사용하고 싶으신 분은 <Update Names>를 클릭하세요.



이제 시스템 언어가 한국어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부 한국어로 나오는 것은 아니니 참고하세요.

시스템을 reboot(재부팅)하면 일부 메뉴 등은 한국어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한국어 입력 설정하기


<Region & Language> 설정 아래에 Input Sources 부분 맨 아래에 Manage Installed Languages을 클릭하세요.



그러면 다음과 같이 <언어 지원이 완벽하게 설치되지 않았습니다>라는 창을 볼 수 있으며 <Install> 또는 <설치> 버튼을 클릭하고 관리자 암호를 입력하여 설치를 진행하세요.



설치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니 참고하세요.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창을 닫고 Input Sources 쪽의 English 아래 있는 <+> 버튼을 클릭하여 <한국어> - <한국어 (Hangul)를 선택하고 상단 오른쪽에 있는 Add(추가) 버튼을 클릭하시고 위에 있는 English 오른쪽에 있는 쓰레기 통 모양의 아이콘 버튼을 클릭하여 English를 삭제하시거나 한국어를 드래그하여 English보다 위에 놔주세요.


만약에 <한국어 (Hangul)>가 나오지 않는다면 우분투를 reboot (재시작) 하고 설정해보세요.



기본적으로 한영 전환키가 Hangul(한글 키), Shift + space 키로 되어 있어요.

한영 전환키를 변경하고 싶으신 분은  Input Sources(입력 소스)에 방금 추가한 <한국어 (Hangul)> 오른쪽에 있는 톱니 바퀴 모양의 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나오는 IBus 한글 설정의 <한영전환키> 부분에서 키를 추가, 삭제할 수 있어요.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며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연관 포스트


우분투 20.04 LTS - 검은 화면, 자동 스크린 락 해제/설정

(자동 잠금 화면 끄기, Ubuntu 20.04 LTS Screen Lock On/Off)


반응형
,